전체 글 (114)

PJ 모듈 (프로젝트 실행 및 관리)

제품을 개발하기 위한 프로젝트를 기준으로 자원, 일정, 위험 등을 관리한다. 프로젝트의 일정을 관리하기 위한 WBS(Work Breakdown Structure) 기능, 프로젝트 기준의 비용관리 기능, 프로젝트 품질 확보를 위한 리스크 및 이슈를 관리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프로젝트의 산출물 관리 기능은 PD 모듈과 연동하여 기능을 제공한다.

 

PF 모듈 (제품 및 기술 포트폴리오)

PF 모듈 (제품 및 프로젝트 포트폴리오)

제품 및 기술에 대한 전략을 구성하고, 성과를 예측하기 위한 포트폴리오 기능을 제공한다. 그리고, 제품 및 기술에 대한 로드맵(Roadmap) 기능을 포함한다.

 

LI 모듈 (연구정보 관리)

실험 및 분석의 의뢰하고 결과를 관리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경우에 따라서 가상실험(Simulation)을 진행하기도 하고, 그에 따른 절차와 대량의 데이터를 관리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특별히 고용량의 컴퓨터 자원이 필요한 시험을 위하여 HPC 연동 기능을 추가적으로 제공한다.

 

PE 모듈 (제품설계 관리)

연구개발의 최종 산출물인 제품에 대한 정보를 구조적으로 관리하고, 그에 대한 변경을 추적할 수 있도록 한다. 이 모듈에는 BOM(Bill of Material)을 포함하는 제품구조(Product Structure) 기능과 설계의 변경에 따른 제품정보를 변경하고 그 이력을 추적할 수 있도록 하는 설계변경(Engineering Order) 기능을 포함한다. 제품요구사항, 제품 사양 등도 포함된다. 제품 설계 정보의 생성을 위해서 CAD, CAM, CAE, CAT 등과 연동한다.

 

ED 모듈 (전자 문서관리)

도면, 각종 산출물 문서, 이미지 및 비정형 데이터를 저장 공간을 제공하고, 분류 체계 및 검색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그 산출물 파일의 생성 및 조회를 위한 고유의 Tool과 연동한다. 여러가지 산출물을 구조적으로 연결된 산출물들의 각각의 변경 이력을 정확하게 구성할 수 있는 구성관리(Configuration) 기능을 포함한다.

 

AL 모듈 (소프트웨어 개발 관리)

제품 구성 중에서 소프트웨어의 개발을 위한 절차 및 정보를 종합적으로 관리하고, 그에 필요한 다양한 개발환경과 연동되는 기능을 제공한다.

 

PP 모듈 (제품 생산 준비 관리)

BOM을 기준으로 BOP를 생성하고, 제공되는 ERP/MES와 연동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PQ 모듈 (개발 품질 관리)

제품의 연구개발 단계에서의 품질 확보를 위한 품질활동을 지원한다. QFD, FTA, FMEA 등의 기능을 제공한다.

 

IP 모듈 (지적자산 관리)

특허와 같은 지적자산을 관리한다. 추가적으로 특허 분석 등의 고유의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기반 기능 (Foundation)

첫번째는 협업(Collaboration) 기능이다. 예를 들면, PJ 모듈은 프로젝트 기준으로 협업을 위한 가상의 공간을 제공해야 하고, ED 모듈은 문서의 동시 작성 및 배포 등의 협업 기능을 제공해야 한다. 협업기능은 내부 및 외부로 그 범위에 따른 권한관리를 제공해야 한다.

두번째는 모든 데이터 및 정보의 라이프사이클(Life Cycle) 기능이다. 프로젝트, 제품구조, 실험정보 등은 그에 적합한 상태가 정의되어야 하고, 그 상태에 따른 변화를 기록하여 유기적으로 추적이 가능하도록 기능을 제공하여야 한다.

세번째는 구성관리(Configuration) 기능이다.  여러가지 산출물을 구조적으로 연결하고, 각각의 변경을 정확하게 조합하여 지정된 조건으로 자유롭게 조합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여야 한다.

네번째는 정보의 흐름과 사용자 간 업무 절차를 지원하는 워크플로우(Workflow) 기능이 제공되어야 한다.

다섯번째는 화면 및 기능 단위 뿐만 아니라 정보객체 단위의 권한 설정이 가능한 접근 권한 관리 (Access Control) 기능이 제공되어야 한다.

 

암호화폐의 특징 중에서, 거래의 익명성이 있다. 이는 거래하는 당사자가 누구인지 알 수 없다는 점이다. 하지만, 일반적인 암호화폐가 완전히 '익명'을 보장하는 것은 아니다.  

암호화폐 거래를 위해서는 주소가 필요한데, 별다를 개인정보를 넣지 않더라도 언제든지 새로운 주소를 만들어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모든 거래들은 블록체인 탐색기를 통하여 추적이 가능하고, 계속해서 추전하다 보면, 그 주소가 누구의 것인지 추측할 수 있게 된다. 즉, 익명이지만 그 익명이 누구인지를 추측할 수는 있다는 것이다. 

이런 아쉬움을 해소해 주는 암호화폐가 있고, 대표적으로 모네로(Monero)와 대쉬(Dash) 를 꼽을 수 있다. 

암호화폐의 익명성을 강조하다 보면, 그 익명성을 이용해서, 불법거래에 사용될 수 있다는 우려를 회피할 수는 없다. 하지만, 어떤 개인이 얼마나 많은 자산을 가지고 있는 지를 모두에게 알려줄 필요는 없다. 또한, 사업자라면 얼마나 많은 고객과 거래하는 지, 얼마나 수입이 있는 지 등은 모두 민감한 내용들이다. 이 모든 것들이 공개되는 것은 개인정보 차원에서 또 다른 우려가 될 것이다. 

암호화폐의 익명성으로, 중앙의 권력에 의해서 모든 개인의 프라이버시가 침해 당하지 않는 세상을 기대해 볼 수 있겠다.

Coinchase는 지난주 진행한 일련의 이벤트로 플랫폼 토큰 CCH 가격이 상승하였고 Cashierest 거래소에서의 거래량도 증가했다고 밝혔다. 

Coinchase 블록체인 크라우드펀딩 플랫폼은 2년간의 안정적인 발전을 거쳐 거래소 업계에서 성과를 얻었다. Coinchase는 지속적으로 발전하는 플랫폼으로서 고품질 프로젝트와 높은 투자수익을 추구한다. 블록체인 응용 서비스와 사용자 이익 보호를 목적으로 다원화의 서비스 생태와 토큰 커뮤니티를 건설하고 있다. 

Coinchase의 플랫폼 토큰 CCH는 투자자들의 사랑을 받고있다. 플랫폼은 CCH를 가장 잠재적 가치 있는 토큰으로 창조하여 플랫폼과 투자자 공동의 성공을 실현하는 데 목적을 두고있다. 

◇Coinchase가 지닌 독특한 우세와 생태 순환 체계 

·‘폭락에 대한 반환’의 혁신 모드 
Coinchase에서 퍼블릭 세일을 실시한 프로젝트의 토큰 가격이 처음으로 거래소에 상장할 때, 상장 후 48 시간 이내 토큰의 ETH 기준 평균 가격이 Coinchase에서 퍼블릭 세일 가격보다 낮으면 Coinchae에서 퍼블릭 세일에 참여한 회원에게 ETH을 환불한다. 이에 대한 수수료는 없다. 
  
·실질적 응용 
Coinchase는 블록체인 크라우드펀딩 플랫폼으로, 제공하는 서비스에는 블록체인 크라우드펀딩, 암호 화폐 예금, 암호 화폐 대출 및 블록체인 게임 등이 포함된다. 이러한 응용의 실행은 투자자들에게 안전한 방어막을 구축해 주고 있다. 

·고품질 스타 프로젝트 선별 
Coinchase는 최근 2년간의 블록체인 실천 경험과 결합하여 수백개의 블록체인 프로젝트에 대해 추적과 분석을 진행하여 블록체인 자산 평가 체계를 구축해 우수한 잠재력의 블록체인 프로젝트를 선별한다. Coinchase는 IEO나 기타 크라우드펀딩 방식 등 모든 프로젝트를 엄격하게 선별해야 하는 것을 책임으로 여기고 있다. 
  
·사용자 명확한 수익상황 및 지속가능 
현재 실제 등록한 모바일 사용자수는 60만명을 돌파하였고 20여종의 언어 Telegram 그룹을 보유하고 있다. Coinchase는 공식 데이터에 의하면 Opennity Launchpad 투자수익율은 1150%, Armors Launchpad 투자수익율은 329%, Lambda의 투자수익율은 2878.8%라고 밝혔다. 또한 이런 방대한 투자자 수량과 거래량은 플랫폼 토큰에 양호한 보장과 지지를 제공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회원 모드 개설 예정 
투자자는 일정한 락업을 통해 회원자격을 얻게 되며 플랫폼과 깊은 연결 고리를 맺게 된다. 투자자들은 회원 모드로 양질의 서비스를 받고 플랫폼은 충실한 팬을 모집하는 상호 이익의 관계이다. 

Coinchase는 아직도 가야 할 길은 멀지만 현재 보여준 추세와 잠재력은 모두 미래의 중요한 가치를 증명하고 있다고 밝혔다.

공식 중문 텔레그램 그룹: http://t.me/coinchase_official_Chinese
공식 영문 텔레그램 그룹: http://t.me/coinchase_global
공식 한글 카카오톡 그룹: http://open.kakao.com/o/gs4QUA3
공식 Facebook: http://www.facebook.com/Coinchaseofficialcom

웹사이트: https://coinchase.com

인테리어 사업체를 위한 공간 저작 솔루션 및 가상현실 기반의 통합공간관리시스템을 개발하는 한국가상현실은 코엑스, 서울대학교병원, 서울아산병원에 이어 인천국제공항공사의 통합공간관리시스템 고도화 사업을 성공적으로 구축 완료하였다고 밝혔다. 

가상현실을 기반으로 실내 공간정보를 3차원으로 가시화하고 의사결정 정보를 제공하는 인천국제공항공사의 통합공간관리시스템은 제1여객터미널과 제 2터미널을 포함한 약 120여개의 건물과 영정도 전체 토지에 대한 방대한 운영 정보를 처리하는 시스템으로서, 이를 차세대 IT 기술의 핵심인 가상현실 기술을 산업 및 업무 분야에 적용시킨 성공적인 사례로 평가받고 있다. 인천국제공항공사는 이번 고도화 사업을 통해 시설, 보안, 관제 등 공간 정보가 필요한 많은 분야로의 시스템 확장을 기대한다고 밝혔다. 

가상현실은 수년 전부터 많은 매체를 통해 알려져 있지만 대부분 게임이나 체험 그리고 일회성 이벤트 용도에만 적용되었으나, 인천국제공항공사의 통합공간관리시스템 구축을 기점으로 가상현실 기술이 산업 분야의 업무 지원 핵심 기술로 자리매김 할 것이라고 개발사인 한국가상현실은 전망하고 있다. 

한편 한국가상현실은 1998년 설립한 1세대 가상현실 기술 전문 개발기업으로 국내 유일의 실시간 3D 가상 공간 저작 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 비 게임 분야의 산업 지원용 가상현실 솔루션 구축 전문 업체이다. 

·3차원 실내 공간정보: BIM 데이터 및 공간 내 센서정보와 연계되어 스마트 빌딩 관리, 보안 관리, 통합 관제 분야로의 확장이 가능하기 때문에 이미 여러 공공기관 및 대형 컴플렉스 건물과 병원 등에서 활용 중에 있다. 공간 자산의 효율적 분배와 재난 대처를 위한 정보 측면에서 지속적인 투자가 이루어지고 있다.

웹사이트: http://corp.kovi.com

Moxa는 세계 최대의 오픈 소스 보호 단체인 OIN(Open Invention Network)에 회원으로 가입한다고 밝혔다. 이로써 IIoT와 관련해서 산업용 에지-대-클라우드 커넥티비티 및 컴퓨팅 솔루션의 세계적 회사로서 첨단 산업용 네트워킹 및 통신 애플리케이션을 가능하게 하는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OSS) 발전에 기여하게 되었다. 

OIN의 최고 경영 책임자인 Keith Bergelt는 “IoT가 소비자들을 위해서 새로운 제품과 서비스를 가능하게 하듯이 IIoT는 산업 분야를 혁신할 것이다. 대부분의 IoT 및 IIoT 플랫폼은 임베디드 리눅스를 사용한다”며 “이들 디바이스로부터 어마어마한 양의 데이터가 발생되고 이것을 리눅스를 기반으로 한 x86 머신 서버 상에서 Hadoop 같은 OSS 솔루션을 사용해서 처리한다”고 말했다. 

또한 “그러므로 IoT와 이를 뒷받침하는 혁신 기술들은 오픈 소스에 크게 의존한다. Moxa가 OIN에 가입하고 리눅스 및 관련 오픈 소스 기술들에 대한 특허 분쟁 보호에 동참하게 된 것을 매우 기쁘게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Moxa의 최고 기술 책임자인 Peter Kohlschmidt는 “IIoT는 산업용 환경으로 이전에 가능하지 않았던 것들을 가능하게 한다. 그럼으로써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운영 효율을 높이고 고객의 요구를 유연하게 충족할 수 있다”며 “IIoT를 뒷받침하기 위해서 핵심적 역할을 하는 것이 리눅스와 여타 오픈 소스 프로젝트들이다. IIoT의 성공은 복잡한 산업 체계에 걸쳐서 여러 곳에 분산되어 있는 센서와 디바이스들을 어떻게 잘 연결하고 관리하며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처리하느냐에 달려 있다”고 말했다. 

또한 “우리 회사는 고객들을 돕기 위해서 이러한 목적에 부합하는 혁신적인 산업용급 리눅스 배포판을 개발하고 제공한다”며 “Moxa가 OIN에 가입함으로써 보안적이고 신뢰할 수 있고 지속가능한 기능들을 제공하는 상호운용 가능 산업용급 오픈 소스 플랫폼을 구축하도록 기여하고 특허 분쟁 보호에 동참하게 되었다”고 덧붙였다. 

OIN은 리눅스 시스템 특허를 서로 간에 교차 라이센싱함으로써 코어 리눅스 및 관련 오픈 소스 기술들에 대해서 특허 분쟁으로부터 보호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마찬가지로 OIN이 소유한 특허는 리눅스 시스템에 대해서 특허를 주장하지 않기로 동의한 어느 단체나 로열티 무료로 사용할 수 있다. 온라인(http://www.j-oin.net/)으로 OIN 라이선스를 등록할 수 있다.

유명 싱가포르 블록체인 미디어 블록카스트(Blockcast.cc)는 5일 영국 컴퓨팅 파워 공유 플랫폼인 Gaimin에 대한 심층 분석을 발표하고, Gaimin 플랫폼과 EOS 프로토콜이 완벽하게 매칭된다고 밝혔다. 

또한 Gaimin 플랫폼이 글로벌 게임 커뮤니티 게이머들을 위해 블록체인 마이닝에 컴퓨팅 파워를 기여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적합한 기본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EOS에는 글로벌 개발자 커뮤니티가 있다. 이는 Gaimin과 같은 프로젝트에 더 많은 개발이 필요할 때 도움을 받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EOS 개발자 커뮤니티는 블록체인 업계의 기술적 우위를 가지고 있고 역동적인 움직임을 보이고 있으며 협조적 태도를 취하고 있다. 

게임 세계에서 팀과 개인은 커뮤니티에서 시너지 효과를 보여준다. EOS는 Gaimin에 목표 사용자, 개발 커뮤니티, 마이닝 커뮤니티, 게임 커뮤니티, 거래 커뮤니티를 위한 훌륭한 환경을 제공한다. EOS의 개념은 Gaimin의 비즈니스 철학, 마케팅 목표 및 제공 상품과도 일치한다. 

EOS 프로토콜은 하드웨어(처리에 사용되는 CPU, GPU, 로컬/RAM 메모리, 하드디스크 스토리지)를 포함한 실제 컴퓨터의 대부분 속성을 시뮬레이션하고, 컴퓨팅 리소스는 EOS 암호화폐 보유자에게 균등하게 분배된다. EOSIO는 스마트 컨트랙트 플랫폼과 탈중앙화 조종 시스템으로 탈중앙화 자치 회사 모델을 통해 산업급 탈중앙화 응용 프로그램을 배치한다. 스마트 컨트랙트 플랫폼은 Gaimin 플랫폼을 실행하는데 필요로 하며 거래 비용을 줄이고 초당 수백만 건의 거래를 처리할 수 있다. 이것이 바로 Gaimin 플랫폼이 EOS 프로토콜을 선택한 이유이다. 

2018년 초 Gaimin팀은 EOS Blockchain 프로토콜 개발 책임자 Phil Mesnier와 그의 OCI(Object Computing)팀이 만나 Gaimin이 EOS를 사용하기로 결정했다. 

두 팀은 OCI가 있는 세인트루이스에서 회사 간 협력 가능성, EOS 프로토콜과 Gaimin 게임 플랫폼의 매칭에 대해 논의했다. OCI는 1993년에 설립되었으며 블록체인, 머신러닝, 산업IoT, 클라우드 서비스 및 서버리스 컴퓨팅과 같은 최신 기술을 활용하여 고성능, 실시간, 미션 크리티컬(Mission Critical) 솔루션 시스템을 구축한다. 이들의 솔루션은 전 세계 많은 회사에 확장성, 상호 운용성, 지속 가능성을 가져다 주었으며 Gaimin에도 많은 도움을 제공했다. 

Gaimin의 CEO Martin Speight는 Blockcast와의 인터뷰에서 “EOS 프로토콜과 Gaimin 게임 플랫폼의 커뮤니티 운영에는 공통점이 많으며 Phil Mesnier과 그의 팀 역시 핵심 솔루션을 인식하고 있어 게임 산업과 플랫폼에서 EOS 프로토콜의 매칭이 좋다고 확신한다. 이는 혁명적으로 게임 커뮤니티의 환영을 받을 것이다. 개인적으로 EOS를 높이 평가하며 Gaimin의 플랫폼은 EOS 생태 시스템의 중요한 부분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Blockcast 간행물은 Martin Speight의 다음과 말로 마무리된다. “EOS는 게임의 미래이며, Gaimin은 게이머들을 위한 플랫폼 구축을 위해 EOS 프로토콜을 계속 지지할 것이다.” 

Gaimin 개요 

Gaimin은 솔루션 제공을 위해 게임분야 13억대 게이밍 컴퓨터 자원을 통한 시스템을 구축해 전 세계의 범위에서 컴퓨팅 파워를 공급하는 것을 가능하게 했다. 이렇게 심플하고 효율 높은 플랫폼으로 끊임없이 상승하는 CGI 렌더링과 가상화폐 채굴에 사용되는 대규모의 컴퓨팅 파워 수요를 만족시킬 예정이다. 

블록카스트 개요 

Blockcast.cc는 블록 체인 커뮤니티를 위한 뉴스 소스이다. 싱가포르에 설립되어 중국, 홍콩, 한국 및 말레이시아에 네트워크를 보유하고 있다. 전세계에 최신 블록 체인 통찰을 제공하고자 한다.

Gaimin : http://www.gaimin.io
보도자료 원문: http://blockcast.cc/editors-picks/aimin-is-a-natur

웹사이트: http://blockcast.c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