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어 낚시대를 로드라고 부른다.

그립 (Grip) :

뒷그립, 앞그립이라고 적혀있는 그립은 손잡이를 이야기하는 것이다. 주로 코르크나 합성수지로 만들어져 있다.

릴시트 (Reel seat) :

릴을 낚시대 부착 시키는 부분이다. 대부분은 나사식으로 되어있지만 링 고정식도 있다.

가이드 (Guide) 

낚시줄이 릴에서 나와 낚시대 고정이 되도록 도와주는 부품이다. 그립 쪽에 가까운 가장 큰 가이드는 버트 가이드(Butt guide), 로드 초리 끝에 달려 있는 가이드는 톱 가이드(Top guide) 라고 부른다. 가이드가 흠집이 많으면 캐스팅시 낚싯줄이 멀리 가지 않는 등 낚시대 성능에 많은 영향을 준다.

블랭크 (Blank) :

한마디로 낚시대 몸통이다. 대부분은 속이 비어있는 튜뷸러 구조로 되어있다.

 

로드는 크게 2가지로 구분된다.

스피닝로드
베이트로드

각 로드에 맞는 릴이 장착해야 한다.

로드는 몇 마디(피스) 인지로 구분할 수 있다. 그냥 한마디로 된 원피스, 2 마디를 끼워서 쓰는 투피스, 3 마디를 키워서 사용하는 쓰리피스, 여러마디를 끼우는 것이 아니라 안에 있는 마디를 뽑아서 쓰는 텔레스코픽으로 구분된다.

원피스
투피스
쓰리피스
텔레스코픽

용도에 따라 조금씩 다르지만 민물루어로는 투피스가 일반적이다.

 

[출처] [ 낚시 장비 ] 루어낚시대의 종류와 기능|작성자 개구리양말

'fish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루어의 선택은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을까.  (0) 2019.09.03
가물치 생태 및 루어낚시법  (0) 2019.09.03
루어낚시 #루어 종류 전체  (0) 2019.06.08
루어낚시대(로드) 규격  (0) 2019.06.04
스푼 종류 및 운영법  (0) 2019.03.12

루어의 종류

1)  소프트베이트
  1.1)  웜 (Worm)
     1.1.1)  그럽
     1.1.2)  나이트크롤러
     1.1.3) 크로피시 (Crawfish)
     1.1.4) 리자드
2)    하드베이트
  2.1) 스푼 (Spoon)

수저처럼 생긴 모양새의 루어를 스푼이라 부릅니다. 형태와 색상 모두 다양하지만 공통적으로 크기에 비해 무게가 무거운 편으로, 멀리 캐스팅이 가능하고 잘 가라앉으므로 투척과 동시에 수심층에 따라서 공략하기 좋습니다. 


  2.2) 스피너 (Spinner)
  2.3) 플러그(Plug)

플러그는 플라스틱,나무 등으로 만들어진 루어로 다양한 형태의 립이 부착되어 있고 다른 말로 하드베이트라고도 불립니다. 크랭크베이트의 상위개념으로도 볼 수 있는데요.  형태에 따라 운용 수심층이 약간씩 달라지며 미노우, 포퍼(폽퍼),펜슬베이트,바이브레이션 등등으로 나뉘어집니다.


     2.3.1) 미노우(Minnow)
     2.3.2) 크랭크베이트
     2.3.3)  바이브레이션
     2.3.4) 탑워터 플러그 (Top water plug)
        2.3.4.1) 폽퍼 (Popper)
        2.3.4.2)  펜슬베이트
        2.3.4.3)  스위셔 (Swisher)
        2.3.4.4) 노이지 (Noisy)
  2.4) 지그(Jig)

민물 바다 모두 손쉽게 사용 가능한 루어 중 하나로, 몸통은 바늘, 머리통은 봉돌로 바늘과 추가 결합된 형태의 루어입니다. 배스용으로 주로 쓰는 러버지그의 경우 바닥층 공략에 주로 사용되며 지그에 스커트(제기나 먼지털이를 생각하시면 됩니다^^)가 붙어있고, 밑걸림 방지를 위한 가드 등이 부착되어 있는 제품도 있습니다. 러버지그는 대상어가 호기심을 보일 수 있도록 다양하게 연출하는 재미가 있습니다.


    2.4.1) 메탈지그
    2.4.2) 러버지그 (Rubber Jig)
    2.4.3) 지그헤드
3) 콤비네이션
  3.1) 스피너베이트(Spinnerbait)

스피너,지그헤드,소프트베이트가 모두 결합된 형태로 독특한 모양을 하고 있습니다. 베이트를 연결하는 부분이 와이어로 되어 있어 와이어 베이트라고 쓰기도 하는데요. 스푼과 유사한 금속의 블레이드가 물의 저항을 받아 돌아가면서 소음과 파동을 내기 때문에 블레이드의 형태 및 크기, 부착된 형태에 따라 좀 더 세분화됩니다. (블레이드가 하나면 탠덤, 두개면 더블) 

스피너베이트


  3.2)  프로그(Frog)

루어 낚시대 강도에 따른 선택

구분 용도
울트라라이트 (UL) 약 7g (1/4온스) 이하의 루어 사용에 적합
라이트(L) 약 14g (1/2온스) 이하의 루어 사용에 적합
미디어라이트(ML) 약 21g (3/4온스) 이하의 루어 사용에 적합
미디엄(M) 약 28g (1온스) 이하의 루어 사용에 적합
미디어 해비 (MH) 강도를 우선시 하는 민물 대물용으로 적합
해비 (H) 강도가 중요한 민물 초대물용으로 적합

루어 낚시대 강도(파워)에 따라 울트라라이트(UL) < 라이트(L) < 미디엄라이트 (ML) < 미디엄 (M) < 미디엄헤비(MH) < 헤비(H) 순서로 구별할 수 있다.

 

루어 낚시대 휨새 (테이퍼)에 따른 구분

구분 특징
패스트 테이퍼 (F) 끝휨새 (초리휨새). 힘새의 기점이 초리 쪽으로 몰려 입질 감지와 훅킹에 유리하고 기민한 루어 동작에 편리하다
레귤러 테이퍼 (R)

허리휨새. 휨새의 기점이 3:7 ~ 4:6 정도로 평범하며 캐스팅의 방향성이 좋아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모더레이트(Moderate)라고 표시하는 경우도 있다.

슬로우 테이퍼 (S) 몸통휨새. 휨새의 기점이 블랭크의 몸통에 있으며, 가벼운 루어도 멀리 던질 수 있는 장점과 걸린 물고기가 잘 떨어져 나가지 않는 이점도 있다. 파라볼릭(Parabolic)이라고 표시하는 경우도 있다.

 

입문용 로드로는 미디엄 라이트(ML) 미디엄 로드(M)에  스피닝 릴 추천

 

[출처] [ 낚시 장비 ] 루어낚시대의 종류와 기능|작성자 개구리양말

스푼의 다재다능한 방식으로 운영 가능하다.
대상어는 쏘가리, 배스 등 거의 모든 어종이 반응을 보인다.

마치 수저처럼 생긴 모양의 루어를 통틀어 스푼이라 부른다. 예외는 있지만 주로 한 겹의 금속판으로 만들어진 것이 대부분이다. 형태는 매우 다양하여 폭이 좁은 것과 넓은 것, 두께가 얇은 것과 두꺼운 것, 완곡도가 큰 것과 작은 것 등이 있다.

크기에 비해 무거운 루어로, 멀리 던질 수 있다는 것이 장점이다. 또한 잘 가라앉기 때문에 착수와 동시에 릴링을 하면 표층, 잠시 기다린 후 릴링을 하면 중층 및 저층 등, 원하는 수심층을 공략할 수 있다. 포인트 범위가 넓고 수심이 깊은 장소에서 효과적이다.


스푼 운영법


• 카운트다운(Countdown) 및 단순 릴링 - 루어가 수면에 떨어진 후 원하는 수심까지 가라앉기를 기다렸다가(카운트다운), 일정 수심층을 유지하며 끌려오도록 릴링한다. 스푼은 물살의 영향을 쉽게 받는다. 그러므로 물살에 밀려 떠내려가는 거리와 가라앉는 정도를 예상해서 캐스팅해야 한다. 또한 일정한 속도로 릴링을 해도 스푼은 조금씩 떠오르므로 원하는 수심을 벗어나기도 한다. 따라서 중간에 릴링을 멈추고 다시 카운트다운을 해야 하는 경우도 있다.


• 폴링 & 저킹(Falling & Jerking) - 릴링 동작을 멈추어 루어가 갑자기 가라앉는 동작(폴링)을 연출하거나, 낚싯대를 강하게 당겨 불규칙적인 동작(저킹)을 연출한다. 스푼의 불규칙적인 동작은 수중에서 번뜩이는 반사광을 만듦으로써 다친 작은 물고기의 뒤척임이나 놀라서 도망가는 모습으로 보이는 효과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