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ishing
-
배스와 날씨fishing 2019. 9. 3. 17:10
1) 바람 바람약간의 바람은 다른 조건들이 다 좋을 때는 낚시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바람 부는 물가를 따라 부숴진 식물의 잔해는 곤충들을 끌어 모으며, 곤충들은 다시 베이트휘쉬(baitfish, 큰 물고기의 먹이가 되는 작은 물고기), 가재, 그리고 이들을 잡아먹을 배스를 유인합니다. 꾸준히 부는 바람은 수면에 잔 물결을 일으켜 배스가 덜 노출되었다고 느끼게 만듭니다. 물고기는 바람에 의해 생긴 표면의 흐름을 마주보며 이동하는 경향이 있으며, 만약 미노우들이 있으면 수면에서 적극적으로 먹이를 먹습니다. 따라서 루어를 바람을 향해 캐스팅할 경우, 물고기가 루어를 볼 가능성이 더 커져 물고기의 관심을 끌기가 용이해집니다. 바람이 캐스팅을 어렵게 할 정도로 강하면, 보다 가벼운 낚싯줄과 로우 사이드암(l..
-
배스가 루어를 공격하는 이유는 무엇일까?fishing 2019. 9. 3. 16:43
(1) 먹기위해서(feeding) 배스는 살아 있거나 움직이는 대상을 먹이 감으로 인식하기 때문에 공격합니다. 먹고 싶어하는 먹이와 닮은 루어를 보면 배스는 서슴없이 공격할 것입니다. (2) 궁금해서(curiosity) 루어와 일정한 간격을 두고 따라오는 경우가 간혹 있습니다. 이 때 배스는 루어가 실제 먹이가 아니라는 것을 알고 있으면서도 호기심을 느꼈기 때문입니다. 루어로 배스의 호기심을 자극하고 입질로 이어지게 하는 것입니다. (3) 방어(protective instinct) 배스는 산란 후 수컷이 산란장을 보호하는 특성이 있습니다. 산란장 주위에 루어를 투입하면 루어를 공격합니다. 이때는 적으로 인식하는 대상을 입으로 쪼거나 물고 산란장 밖으로 뱉어 버리는 식의 행동입니다. (4) 반사동작(rea..
-
배스는 어떤 포식습성(feeding habits)을 가지고 있을까?fishing 2019. 9. 3. 16:40
배스는 먹이감을 아가미와 입을 크게 벌려 입안에 역압(negative pressure)을 만들어 흡입력 (suction power)으로 빨아들입니다. 배스는 먹이를 삼키기 전에 이물감이 느껴지면 곧바로 뱉어 버리는데 이는 매우 빠른 동작이므로 배스의 입질을 민감하고,빠르게 감지하지 못하면 훅(hook)세팅 시기를 놓치기 쉽습니다. 또한 배스는 아주 복잡하고 두꺼운 장애물이 있은 그늘에서 많은 시간을 소비합니다. 연구용 대형 수조에서의 실험에 의하면 50cm 내에서 먹이를 공격할 때 60~80%는 성공한다고 합니다. 그러나 공격 가능한 거리가 길수록 또한 장애물(cover)이 무겁고 두꺼울수록 이 성공률은 낮아집니다. (1)살금살금 접근하기(stalking) 먹이를 발견하면 살그머니 접근한 다음 갑자기 공..
-
강준치 루어낚시fishing 2019. 9. 3. 16:38
⊙ 표준명 : 강준치 ⊙ 학명 : Erythroculter erythropterus ⊙ 일본명 : 가와히라(カワヒラ) ⊙ 중국명 : 紅尾把, 白魚 ⊙ 방언 : 준치·물준치·백다라미·왕어·우럭·우레기 루어낚시 대상어 중에서는 쏘가리가 단연 최고의 인기겠지만 그외 꺽지·끄리·강준치도 쏘가리에 못지 않은 ‘맛과 멋’을 지니고 있는 어종들이다. 특히 강준치는 ‘썩어도 준치’라는 말의 주인공인 바다고기 준치와는 다른 종이지만 그 생김새가 매우 유사한 멋진 몸매를 갖고 있으며 몸집도 커서 60∼70cm급도 흔한 대형 루어낚시 대상어종이라 할 수 있다. ⊙ 이름 강준치는 이름 그대로 ‘강의 준치’란 뜻으로 맛으로 유명한 바다(특히 서해)고기인 준치와 외형상 닮은 점이 매우 많다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지방에 따라서는 ..
-
루어의 선택은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을까.fishing 2019. 9. 3. 16:37
루어의 선택은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을까. 1. 물속을 한번 들여다 보라, 주변상황에 따라서... 낚시터에 도착하면 채비부터 묶지말고 물속을 한번 들여다보는 여유가 필요하다. 물을 한번 들여다 보는 것 만으로도 어떤 루어를 써야 할것인지 알수가 있다. 일단 물 색깔과 루어의 색상은 비슷하게 쓴다. 내가 루어의 컬러를 선택하는 제 1법칙이다. 배스는 보호색을 찾아내는 데는 탁월하다고 한다. 맑은 물에서는 투명한 계열이나 뻔쩍이는 계열 흐린물에서는 어두운 계열이나 연두) 계열이 잘 먹힌다. 이유는 아마도 배스가 잘 볼수 있기 때문이 아닐까 한다. 주변에서 가장 흔하고 구하기 쉬울 것 같은 먹잇감을 찾아라!! 조황이 너무 좋지 않아 꽝을 면치 못할 상황에 물속에 작은 망둥어 비슷한 녀석들이 많아 비슷한 웜을 사..
-
가물치 생태 및 루어낚시법fishing 2019. 9. 3. 16:34
가물치의 몸은 길고 원통형이지만 뒤쪽으로 가면서 옆으로 납작하다. 머리는 등과 배 쪽으로 납작하다. 입이 커서 입구석이 눈보다 훨씬 뒤에 있다. 아래턱이 위턱보다 길다. 눈은 작고 위턱의 중앙부에서 등 쪽에붙는다. 옆줄은 완전하고 처음에는 아감덮개 뒤에서 시작해서 등 쪽으로 길게 달리지만 뒤쪽으로 가면서 몸의 양쪽 중앙부를 곧게 지나 꼬리지느러미의 기부까지 이어져 있다. 배지느러미는 유별나게 작고 가슴지느러미는 아감덮개의 바로 뒤에 붙어있으며 넓고 끝이 둥글다. 등지느러미는 몸 길이의 반보다 길고 살은 45∼53개이다. 뒷지느러미도 길지만 등지느러미보다는 짧고 살은 31∼35개이다. 꼬리지느러미는 갈라지지 않고 끝이 둥글다. 몸의 바탕색은 노란 갈색이다. 머리의 양쪽에는 두 줄씩의 짙은 세로띠가 눈에서 ..
-
루어 낚시대(로드) 부분 명칭 및 종류fishing 2019. 6. 9. 19:33
루어 낚시대를 로드라고 부른다. 그립 (Grip) : 뒷그립, 앞그립이라고 적혀있는 그립은 손잡이를 이야기하는 것이다. 주로 코르크나 합성수지로 만들어져 있다. 릴시트 (Reel seat) : 릴을 낚시대에 부착 시키는 부분이다. 대부분은 나사식으로 되어있지만 링 고정식도 있다. 가이드 (Guide) : 낚시줄이 릴에서 나와 낚시대에 고정이 되도록 도와주는 부품이다. 그립 쪽에 가까운 가장 큰 가이드는 버트 가이드(Butt guide), 로드 초리 끝에 달려 있는 가이드는 톱 가이드(Top guide) 라고 부른다. 가이드가 흠집이 많으면 캐스팅시 낚싯줄이 멀리 가지 않는 등 낚시대의 성능에 많은 영향을 준다. 블랭크 (Blank) : 한마디로 낚시대 몸통이다. 대부분은 속이 비어있는 튜뷸러 구조로 되어..
-
루어낚시 #루어 종류 전체fishing 2019. 6. 8. 14:30
루어의 종류 1) 소프트베이트 1.1) 웜 (Worm) 1.1.1) 그럽 1.1.2) 나이트크롤러 1.1.3) 크로피시 (Crawfish) 1.1.4) 리자드 2) 하드베이트 2.1) 스푼 (Spoon) 수저처럼 생긴 모양새의 루어를 스푼이라 부릅니다. 형태와 색상 모두 다양하지만 공통적으로 크기에 비해 무게가 무거운 편으로, 멀리 캐스팅이 가능하고 잘 가라앉으므로 투척과 동시에 수심층에 따라서 공략하기 좋습니다. 2.2) 스피너 (Spinner) 2.3) 플러그(Plug) 플러그는 플라스틱,나무 등으로 만들어진 루어로 다양한 형태의 립이 부착되어 있고 다른 말로 하드베이트라고도 불립니다. 크랭크베이트의 상위개념으로도 볼 수 있는데요. 형태에 따라 운용 수심층이 약간씩 달라지며 미노우, 포퍼(폽퍼),펜슬..